마이리를소다팝🛼 유튜브 라이트 요금제 출시 임박
구글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적한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제의 유튜브 뮤직 '끼워팔기' 혐의를 벗고자, 연내 동영상 단독 이용 라이트 요금제 출시에 나선다고 합니다! 해당 요금제는 유튜브 뮤직 기능, 백그라운드 재생, 오프라인 저장 기능이 빠지고 영상 콘텐츠 광고 제거 기능만을 담는다고 하는데요. 국내 음원 플랫폼들은 음원 시장 판도의 변화가 생길 것을 기대하며, 수요 회복 기회를 살피고 있다고 합니다.
|
|
|
※ 다크 모드일 경우 '웹에서 보기'를 추천드립니다. |
|
|
마이 리를 소다팝...마이 리를 소다팝...🎶.K-POP 아이돌 그룹 '헌트릭스'가 악령을 물리치고 세상을 보호한다는 내용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 해당 작품이 여러 차트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올리며 글로벌 흥행 공식을 새로 쓰고 있습니다. OST인 '골든(Golden)'은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 톱 100에서 1위를 달성한 데에 이어,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 핫 100에서도 2위에 오르며 팝 양대 상위권을 석권했는데요. 특히나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에서 K팝 곡이 1위를 기록한 것은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후 13년만이라고 합니다. 이와 더불어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 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로 기록되며 각종 스코어를 갈아치우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성공을 한 마디로 요약해보자면 "기출 변형"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분명 아는 문제인데 예상치 못한 부분의 변주가 킥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어쨌든 솊디터 셋도 성공요인 분석 막차 슬쩍 타봅니다. 마이 리를 소다팝.. 마이 리를 소다팝....(돌림노래) |
|
|
[한 꼬집] 어 이거 아는 맛인데
[두 꼬집] 동서양의 혼종 (Feat. K-POP 산업의 성장)
[세 꼬집] 캐릭터성
[네 꼬집] 바이럴
[다섯 꼬집] 투비컨티뉴 |
|
|
성공요인 ① 어 이거 아는 맛인데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 톱100 1위,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 핫 100 2위, 애플 뮤직 미국 일간 톱 100차트 1위...'골든'이 줄 세운 차트들입니다. 실제 아이돌 활동이나 라이브 없이 차트를 흔든 사례인데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음악 영화에서 순수하게 음악이 좋았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골든'은 음악 감독 아이젠드라스를 필두로 SM 엔터테인먼트 연습생 출신 작곡가 이재, 더 블랙 레이블 테디, 24, IDO 등 케이팝 프로듀서들이 대거 참여했습니다. 더불어 케이타이거즈, 리정 등 K-POP 안무가들도 참여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극 OST가 아니라 K-POP 프로듀싱 수준의 음악이 되었습니다. 거의 교수님들급 라인업으로 뮤직비디오, 댄스, 콘서트 연출까지 실제 아티스트처럼 소비가 되었습니다.
|
|
|
특히나 사운드트랙이 실제 케이팝 스타일의 곡이기 때문에 친숙함과 몰입도가 상승했다는 평이 많은데요. 헌트릭스는 블랙핑크, 트와이스, 있지를 모티브로, 사자보이즈는 방탄소년단, TXT, Stray Kids, Ateez, 엑소 등을 참조한 캐릭터 구성이라고 합니다.
영화 내엔 엑소, 멜로망스, 듀스 등 실제 케이팝 히트곡이 삽입되기도 했는데요. 친숙하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는 맛으로 침투한 무시무시한 매력..
애니메이션 영화에선 그 영화를 상징하는 OST의 힘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츄핑하면 '처음 본 순간', 겨울왕국하면 'Let It Go', 알라딘하면 'A Whole New World', 주토피아하면 'Try Everything', 지브리 애니메이션의 히사이시조 노래들, 너의 이름은의 래드윔프스 노래들 같은 것처럼요.
영화의 톤앤매너를 잘 담고 있으면서도 기본적으로 음악이 '좋다'는 느낌을 줘야 합니다. 케이팝데몬헌터스는 케이팝 산업의 인재 폭격으로 가장 최우선되는 필요충분조건을 잘 충족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
성공요인 ② 동서양의 혼종 (Feat. K-POP 산업의 성장)
K-POP은 오랜 기간 국내 팬덤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지만, 내수 시장 규모에ㅔ 한계가 명확해지며 자연스럽게 해외 시장 개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오히려 좋아) 이 과정에서 문화적 할인을 낮추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는데요. 예를 들어 영어 가사 도입, 미국 심야 토크쇼 및 시상식 출연, 월드 투어, 해외 유명 아티스트와 콜라보 작업, 북미 작곡가와의 협업, 다국적 멤버 구성, 현지 언어 인터뷰와 자막, SNS 중심 팬덤 마케팅 등 거의 시기별 한류를 거치며 세계를 향한 융단 폭격을 쏘아올렸습니다. 💥
BTS, 블랙핑크, 스트레이키즈, 에이티즈 등은 이러한 발판을 바탕으로 세계 전역에 팬층을 확보하고 글로벌 K-POP 시대를 열었습니다. 오늘날 더이상 빌보드 진입 소식이 그렇게 놀랍지는 않게 되기까지..역시 사람 일은 모르는 것 같습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이러한 K-POP 산업 그 자체를 세계관 중심 축으로 삼아 기획된 작품입니다. 전 세계 팬들이 이미 스며들어버린 케이팝 팬덤문화와 서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거죠.
|
|
|
또한 영화 전개 전반에 무속인의 전통 복식과 무기, 한국 민화 '작호도', 데몬 헌터들이 착용한 노리개, 조선시대 전통무기이자 임진왜란에 사용된 유물 쌍검, 전통 무기 활, 저승 사자와 도깨비를 재해석한 악령 캐릭터 등 한국의 전통이 알차게 잘 녹아들었는데요.
이에 더해 대중 목욕탕, 한의원, 등산복 입은 팬클럽, 라면, 낙산공원, 서울 남산, 하다 못해 휴지 밑에 까는 수저까지 현대 한국의 대중 문화까지. 오히려 너무 익숙한 것들이 보여지니 신선한 재미를 자아냈습니다.
또한 아시아권에 익숙한 샤머니즘, 데몬(악마, 악귀) 장르 영화가 익숙한 서양권 관객 모두의 니즈를 충족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컨저링> 시리즈, <판의 미로> 등 악귀를 다룬 영화가 꾸준히 인기를 끌어온 것이 수요에 대한 방증이기도 하지요. |
|
|
성공요인 ③ 캐릭터성
케데헌은 전형적인 미국식 애니메이션보다 파스텔 톤이 많이 사용됐는데요. 어쩐지 BTS의 다이너마이트가 생각나기도 하고, 블랙핑크의 뮤직비디오가 생각나기도 합니다. 한 마디로 전체적인 톤앤매너가 트렌디하다는 느낌을 줍니다!
|
|
|
또한 신체는 테토지만 얼굴은 에겐..얼굴은 고양이상 쎈언니지만 속은 여린...실제 Z세대가 선호하고 추구미로 꼽고 있는 수요가 반영된 캐릭터 디자인 역시 한 몫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멤버들 간의 관계성과 케미가 역시나 또 아는 맛이라 찾게 되는 매력이 있었습니다. |
|
|
성공요인 ④ 바이럴
헌트릭스의 '골든'은 시원시원한 고음이 특징인 곡으로 가창력이 뛰어나지 않으면 시도조차 할 수 없는 챌린지적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마마무 솔라, SES 바다, 에일리, 아이브 안유진, 에이핑크 정은지 등 수준급 노래 실력을 가진 가수들이 잇따라 노래를 커버하며 온라인에서 확산되었습니다. (명창이 많아 혼문 깨질 일 없다고 전해라)
|
|
|
사자보이즈의 'Soda Pop'은 보이넥스트도어, 제로베이스원, 라이즈, 투어스 등 현재 케이팝 산업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남자 아이돌들이 커버하며 온라인에서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극 중 캐릭터의 모티브인 차은우가 직접 소다팝을 추기도 했는데요. 이걸 어떻게 참을 수 있겠습니까. (?) |
|
|
성공요인 ⑤ 투비컨티뉴
한편!! 넷플릭스는 이 흥행을 바탕으로 속편 제작은 물론, 실사 영화와 뮤지컬 등 후속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중이라고 하는데요. 미국 특허상표청(USTPO)에 상표권을 출원하는 등 브랜드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합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캐릭터별 서사, 능력, 과거사 등 파고들 요소가 풍부하고 팬덤이 참여 가능한 해석의 여지가 많은 작품입니다. 이는 '입덕-해석-2차 창작-굿즈 소비'로 이어지는 팬덤참여를 촉구시킵니다. 해리포터 덕후, 마블 덕후처럼요.
|
|
|
이례적인 스코어로 나날이 기록을 경신해가고 있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아직 안보셨다면 솊디터 셋 다 모두 강력 추천 드립니다! 셋 다 취향에 맞았그등요. 그러면 슬쩍 막차 문 닫고 떠나보겠습니다. 오늘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
|